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이야기/알찬정보

멀미 심할땐 생강 달인 물...배탈 났을땐 보리차 마셔야

- 고향 가는 길 운전만 7시간, 녹초가 되는 아버지...명절만 돌아오면 스트레스, 숨고 싶은 어머니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풍요로움이 가득하고, 온 가족이 모여 그간 나누지 못한 이야기들로 꽃을 피우는 추석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모두가 기다려 온 추석이지만 짧지 않은 추석연휴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때론 걱정스런 추석이 될 수도 있다.

추석 연휴에 특히 발생하는 가장 큰 건강 문제들은 과식과 과음, 그리고 교통 사고, 야외 생활로 인한 전염병 등이다. 송미연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수와 홍성수 비에비스나무병원장의 도움말로 추석전후 온가족의 건강관리법에 대해 알아본다

◇장시간 운전, 녹초가 되는 아버지

장시간 같은 자세로 운전을 하다보면 온 몸에 이상이 찾아온다. 눈은 침침하고, 목은 뻣뻣하며, 어깨는 결린다. 몇 시간 동안 펴지 못한 허리와 다리에도 통증이 찾아온다. 그러다보니 그리던 고향에 도착해도 온 몸이 뻐근해 눕고만 싶어진다.

때론 좋지 않은 컨디션으로 명절연휴를 망칠수도 있다. 때문에 운전도중에 휴게소에 들러 잠시 휴식을 갖으며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으나, 그럴 상황이 안 된다면 차안에서도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야 건강에 무리가 없다. 목과 어깨 돌리기부터 오른손으로 벨트 고리 잡고 허리 돌리기, 두 팔 뻗기, 발목 펴기와 돌리기 등을 통해 차안에서도 목과 어깨, 허리를 풀어줄 수 있다.

또한 손바닥으로 눈을 마사지해주고, 심호흡을 깊고 천천히 해 여유로운 운전을 돕는 것이 좋다. 자주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바꿔주고, 이동하는 내 일행과 대화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명절 스트레스, 숨고 싶은 어머니

주부들에겐 명절이 꼭 반갑지만은 않다. 장보기와 음식장만, 설거지, 청소, 아이 돌보기에 어르신과 친척들까지 모셔야 한다. 그러다보니 ‘명절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생겨날 만큼 명절이후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로감을 호소하는 주부들이 적지 않다.

명절 증후군은 육체적인 피로도 크지만 대체로 정신적 피로감(스트레스)에서 기인한 내부의 증상이 크다. 명절증후군을 겪은 주부는 명절이 오기 전부터 불안감이나 불면증상, 긴장성 두통 등에 시달리기도 하며, 심할 경우 명절 때마다 증상이 반복돼 고질병이 될 수도 있다.

명절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는데, 바로 주부를 향한 가족과 친척의 관심과 배려이다. 송미연 교수는 “명절 음식 준비와 정리에 고생하는 주부에게 따뜻한 격려의 말과 함께 마음으로 배려하고, 명절이후 수고한 주부에게 선물을 하거나 함께 여행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신적·신체적 증상이나 우울감이 2주 이상 지속될 경우 정신과 전문의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아 만성적 우울증으로의 발전을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오래 보관한 추석음식, 식중독 주의

가을이라고 해서 식중독을 간과하면 안된다. 따뜻한 실내에서 음식을 오래 보관한 경우에는 음식이 상할 수 있다. 특히 추석 음식의 경우 한꺼번에 대량으로 조리하기 때문에 두고두고 먹는 경우가 많아 상할 우려가 많다.

식중독의 주된 증상은 구토, 복통, 메스꺼움, 설사 등으로, 간혹 열이 나거나 혈변을 보는 경우도 있다. 음식을 먹은 후 빠르면 1시간, 늦어도 72시간 안에 증상이 나타난다. 같은 음식을 먹은 가족 중 2명 이상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면 일단 식중독을 의심해 봐야 한다.

홍성수 원장은 “만약 오래 보관한 추석 음식을 먹고 식중독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자가진단에 의한 약 복용보다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섭취한 독성물질을 체외로 내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임의로 약을 복용해 구토나 설사를 멈추는 것이 오히려 해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물은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설사 등으로 수분이 체내에서 빠져나갔을 확률이 높기 때문. 물을 마실 때 소금이나 설탕을 조금 타서 마시면 몸속의 전해질 균형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함부로 음식을 먹으면 설사가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조심스럽게 먹으면서 체력소모를 최소한으로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61&newsid=01187366609502744&DCD=A00706&OutLnkChk=Y